본문 바로가기
728x90
부산광역시 원도심 (중구/동구/서구/영도구) 1. 역사 부산광역시의 옛 중심지였던 중구와 영도구, 동구와 서구 등 역사적으로 부산부였던 지역을 통틀어 부를 때 사용되는 단어다. 부산광역시청의 소재지였던 만큼 과거 부산에서 가장 번화한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던 지역이다. 그래서 이름도 원도심인 것이다. 옛 구를 써서 구도심으로 부르기도하지만 몰락한 과거의 도심이라는 부정적 뉘앙스 때문에 원도심이라고 표현한다. 더군다나 부산의 원도심은 몰락했다고 보기에도 무리가 있다. 오늘날 제1의 상권인 서면을 비롯해 해운대, 부산대, 대연동, 덕천, 하단, 사상 등 새로운 상권들이 치고 올라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도심(정확히는 남포동-광복동 일대)은 여전히 서면에 이어 부산 제2의 상권을 유지하는 중이다. 서면과 유동인구 및 방문객 수 경쟁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 2021. 4. 24.
부산광역시 도심 (부산진구) 1. 역사 부산진구를 가리키는 옛 명칭은 동평이었고, 이는 신라 경덕왕이 동래군의 영현으로 이곳에 설치한 동평현에서 유래된 오래된 지명이다. 정확히는 동구 범천동과 범일동, 좌천동에 이르기까지 넓은 영역을 포괄하였는데 현재는 부산진구 당감동과 부암동 일부만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부산광역시의 중심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이름은 조선시대 설치된 부산진성에서 따왔다. 이름만 따온 것으로 부산진성터나 부산진역, 부산진시장 등은 모두 동구에 위치해 있다. 부산진과 부산진구의 관계는 수원화성과 화성시 관계와도 같은 것; 줄여서 진구라고도 부르고 진구청이라고도 부른다. 지도나 유동잡지, 포스터 통신문 같은 데 보면 약칭으로도 쓰인다. 현대 부산의 지리적, 문화적 중심지로, 부산 최대의 상권 서면이 이 구.. 2021. 4. 23.
부산광역시 동래 (금래구/동래구/연제구) 1. 역사 지금 부산광역시의 옛 이름으로 동래의 중심지역은 지금의 동래구 일대였다. 현재는 동래구라는 뜻 이외에도 넓은 의미의 동래권 지역인 동래구, 연제구, 금정구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쓰인다. 이 중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동래는 지금의 동래구 영역이며 금정구와 수연구, 연제구는 동래의 변두리에 해당했으며, 요즘에도 연제구와 금정구는 동래권 지역으로 보지만 수영구는 남구나 해운대구와 함께 동부산권 지역으로 보는 시각이 대부분이다. 서울의 사대문처럼 과거 동래부도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고 동서남북 4개의 문이 있었다. 조선시대에 동래읍성은 일본과의 외교창구였기 때문에 관아의 규모도 크고 격식이 높았다. 조선시대에는 초량에 왜관이 설치되어 일본과의 무역 거점 도시 기능을 하였다. 조선에서 일본으로 조선통신사를 .. 2021. 4. 22.
경기화성시(동탄신도시포함) 시세지도 21년4월 1. 동탄1신도시 2021.04.05 - [부동산/신도시] - 수도권 남부 신도시 개발의 출발, 동탄1신도시 2021.04.20 - [부동산/입지분석] - 경기남부권 화성시 손품 -석우동(동탄1동) : 메타폴리스와 센트럴파크가 위치해있는 곳으로, 흔히 동1 혹은 동탄이라고 부른다. -반송동(동탄1,2동) -능동(동탄3동) : 동탄1,2신도시를 통틀어서 유일하게 동탄면이 아닌 태안읍 출신임. *예당마을1단지 _ 푸르지오, 우미린제일풍경채, 신일유토빌, 롯데캐슬 아파트 4개단지와 46개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마트동탄점과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파출소, 보건소, 우체국 같은 공공기관이 들어와있다. 난방공사 또한 이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조금 더 올라가면 기흥동탄IC가 자리잡고 있다. *한빛마을2단지 _ 삼부.. 2021. 4. 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