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답십리고미술상가란?
'도심 속 노천 박물관'으로 불리는 답십리고미술상가는 국내 최대 규모의 골동품 거리로, 선조들의 생활상과 예술성을 엿볼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골동품 거리다. 답십리고미술상가는 두 개의 권역으로 나뉘는데, 지하철 5호선 답십리역 1/2번출구에서 이어지는 '답십리고미술상가'와 4번 출구로 나와 장안평 방향으로 10여분 걸어가면 '장안평고미술상가'를 만난다.
1980년대부터 청계천과 충무로, 명동, 황학동, 아현동 일대에 흩어져 있던 골동품 가게들이 비싼 자릿세를 피해 하나둘씩 모여들면서 골동품거리가 조성되었다. 골동품이 호황을 맞은 시기는 '88서울올림픽'을 전후해서다. 이후 중산층이 무너지면서 사람들의 관심 밖으로 밀려나기 시작했고, 최근에는 장기 불황으로 침체의 늪에 빠진 상태다.
답십리고미술상가는 삼희아파트 2/5/6동 건물 1층에 120여 점포가 영업 중이고, 장안평고미술상가는 우성,송화 2개의 건물에 80여 점포가 들어서 있다.
2. 왜 요즘 투자자에게 핫한가?
썩상(=썩은상가)의 이슈와 함께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곳이다. 해당 사업지의 위치는 동대문구 남쪽으로 성동구의 북쪽 용답동-마장동과 맞닿아 있는 곳이다.
삼희아파트는 1~3층근생상가 + 4~9층은 아파트(주거용)로, 초기 주복형태로 구성이 되어 있다. 총 4개동 150세대이며, 1983년12월19일 사용승인을 받은 아주 낡은 주복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다보니 삼희아파트가 재건축을 진행하면서 고미술상가 주인에게도 입주권을 줄 수 있지 않을까~라는 기대감으로 투자자들이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삼희아파트와 우성, 송화 아파트의 재건축 가능성은 어느정도일까? 생각해보아야한다. 아파트가 진행해야 상가도 함께 진행될지 여부를 알 수 있으니 말이다.
*2030서울지역생활권 계획에 따르면, 답십리 고미술상가의 특화 및 활성화로 지역대표 명소가 될 수 있게 육성하겠다고 한다. 인근의 동대문구 장안자동차부품상가는 도시재생활성화 사업을 진행함으로써, 전시시설/물류시설/컨벤션 및 회의시설/산업지원센터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3. 주변 일대의 변화
동대문구는 과거 성저십리 때부터 사람들이 살기 시작하면서 도시가 발전한 케이스로, 시간이 많이 흘러 노후도가 심각해짐에 따라 재개발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동대문구 글을 확인해주세요.)
2021.05.03 - [부동산/입지분석]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1. 위치 2. 도시변화 2-1. 변천과정 2-2. 발전계획 3. 도시구조 3-1. 하위 행정구역 3-2. 인구 3-3. 교통 3-4. 인프라 3-5. 교육 4. 도시개발 4-1. 청량리재정비촉진지구 4-2. 전농답십리뉴타운 4-3. 이문휘경뉴
bamboo-grove.tistory.com
그렇다보니 전농답십리뉴타운으로 지정되어 개발이 이루어졌다. 고미술상가 인근의 개발정도를 확인해보자.
답십리역고미술상가를 중심으로 북쪽에는 답십리래미안위브, 답십리두산위브, 답십리파크자이 등이 위치하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용답동108-1 재개발구역(청계천리버뷰자이)이 진행 중에 있다. 장안평고미술상가 북쪽에는 약간 떨어져있지만 답십리17구역이 위치하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용답동 골목길 도시재생사업 구역이 위치하고 있다.
4. 주의할 점은?
진행 및 도정법상 상가는 아파트 입주권 확보가 쉽지 않다. 즉 상가를 가지고 있다고 무조건 입주권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다. 상가는 입주권이 나오지 않는 것이 기본이라고 생각하고 접근해야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미술상가는 주상복합의 형태이다보니 상가를 빼놓고 재건축하기가 쉽지 않으니 혹시나 줄 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기대감 때문에 많은 투자자들이 진입하고 있다. 또한 분위기를 타다보면 반드시 재건축 되지 않더라도 or 상가는 입주권을 받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투자바람을 타고 가격이 오르니 일명 치빠(치고빠지기) 작전으로 진입하는 수요도 있는 듯 하다.
*참고로 삼희아파트는 재건축 진행예정 현재로는 없음. (21년5월3일 기준)
5. 시세
1) 2017년7월경 답십리동 고미술상가 2층 점포5칸 전용면적 164.92㎡(50평) 엘베있음.
매매가격 5.6억, 임대료 보증금5000/400만원
2) 2017년10월경 동대문구 답십리동 530-10 고미술상가 분양면적 31.79㎡ 전용면적 24.43㎡
매매가격 9000만원, 임대내역 보증금1000/15만원
3) 2018년12월경 북부2계 2016-8178 경매낙찰 510,000,000원 (토지 26.72평 지분매각) - 채권자 낙찰
4) 2020년10월경 북부8계 2018-106203 경매낙찰 65,070,000원 (토지 6평 지분매각) - 공유자우선매수
5) 2021년5월 현재 매매 물건은 없음.
6) 2021년5월 삼희상가128호152호 (지하1층) 계약 49.58 전용 29.08 월세 200/25 (관리비 6만)
7) 최근실거래가 - 거래량이 많지는 않지만 최근 19~20년 사이에 약간의 거래량이 있었음.
6. 이와 비슷한 투자처들은 어디?
노후도가 높은 상가들로 현재 언급되는 투자처들은 아래와 같다.
지역 | 상가명 |
서울 종로구 | 창신동 완구상가 |
창신동 신발상가 | |
예지동 시계골목 | |
서울 용산구 | 용산 전자상가 |
서울 동대문구 | 답십리 고미술상가 |
서울 구로구 | 구로 고척공구상가 |
'부동산 > 상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특별시 종로구 상권 (2) | 2021.06.02 |
---|---|
단지내 분양상가 (0) | 2021.05.13 |
대학상권 2편 건대상권 (0) | 2021.05.11 |
대학상권1편 홍대거리 (0) | 2021.05.09 |
댓글